투자를 처음 시작하셨거나, 주식 투자만 하다가 코인 투자를 시작하신 분들이 공통적으로 가질 의문입니다. 대체 비트코인은 왜 오르는 걸까요? 주식은 회사가 돈을 잘벌면 오르는데 코인은 회사도 아닌게 대체 왜 오르내리는지 모르겠죠? 만약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면 조만간 올 너도나도 코인판에 뛰어드는 광기의 시장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을 겁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트코인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며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왜 일까요?
#1. 누구에게도 통제권이 없는 자산
2008년, 은행들의 탐욕이 불러온 금융위기는 수많은 사람들을 거리로 내몰았습니다. 기업들은 파산하고 사람들은 집과 재산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이때 정부는 사건을 일으킨 장본인인 은행을 구제하기로 결심합니다. 어떻게요? 달러를 마구 찍어내어서 말이죠. 달러를 따라서 브랜드 가치가 높은 세계 통화들은 통화 발행량을 늘렸습니다. 이렇게 돈을 마구 찍어내어 구제금융을 하지만, 결국 그 돈들은 누군가가 갚아나가야 할 부채들이었습니다. 돈을 찍어낼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주체는 돈을 마음대로 찍어내며 이를 통해 막대한 이득을 취합니다. 반면 그 권한이 없는 자본주의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위치한 서민들에게는 막대한 피해가 됩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화폐 발행에 대한 통제권을 가진 기득권은 절대권력을 가지게 됩니다.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그 누구에게도 통제권이 없습니다. 비트코인은 세상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동시에 어디에도 없습니다. 파괴할 물리적인 영토도 없고, 압박할 기관이나 국가도 없습니다. 비트코인은 발행 주체가 없습니다. 주인도 없습니다. 그것이 비트코인이 가진 본질적인 가치입니다. 탈중앙화. 역사상 이러한 특징을 가진 화폐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2.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증가하는 자산
달러는 미국이 마음만 먹는다면 지금 하는 것처럼 무한정으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제멋대로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며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구조라는 것이죠. 사실상 공급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화폐의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발행한도가 제한되어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처음부터 총 2100만 BTC만 발행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약 1950만개가 채굴되었고, 발행이 끝나는 날은 2030년 쯤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채굴이 끝나는 날이 오면, 마치 지구에 존재하는 금의 총량이 정해져있듯, 비트코인은 더이상 공급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 공급 법칙에 따라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이 늘지 않으니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가치는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3. 달러의 위기
앞서 설명했듯 본질적으로 기존 화폐 시스템은 많은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중앙화’되어있다는 것이죠. 누군가가 화폐에 대한 통제권을 쥐고 마음껏 발행할 수 있다는 거죠. 실제로 계속해서 달러 패권에 위기가 찾아왔다는 내용의 뉴스를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머지않아 달러에 대한 신뢰가 바닥나면서 기축통화의 위상이 바닥으로 추락할 것이라고 보는 전문가들도 많죠.
#4. 대규모 자본의 유입
최근 비트코인의 현물 etf가 승인되며 비트코인의 가격이 연일 최고가를 갱신하며 현재는 1억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시사하는 바는 드디어 국가에서도 비트코인을 제도권 안으로 인정하고 들여왔다는 것입니다. 이에 많은 old money, 기관들이 손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되면서 수요가 폭등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만간 홍콩에서도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관련 호재가 작용하며 머지않아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에서 비트코인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전세계의 이목과 대자본이 몰리는 코인 시장은 장기적으로 상승 추세를 그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관측입니다.
이렇게 비트코인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저와 같이 강력한 신념이 있다면 사사로운 조정과 파도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신념이 없이 fomo 심리로 인해 투자를 하거나, 지인의 추천으로 투자에 뛰어든다면, 대상승장이 오더라도 그 파동에 올라타지 못할 것입니다.